![[사진=한국전력]](/news/photo/202309/15_2043013_843799_735.jpg)
[이뉴스투데이 김종현 기자] 최근 선임된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에 대해 선임에 반대하거나 기권표를 던지 주주 의결권 비율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일영 의원이 한전에서 제출받은 주총 결과 자료에 따르면 지난 18일 열린 임시 주총에서 김 사장 선임 안건에 찬성한 비율은 95.6%, 반대 또는 기권한 비율은 4.4%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반대 또는 기권 비율은 전임자인 정승일 전 사장(21대)과 김종갑 전 사장(20대) 선임 때의 0.7%, 0.5%보다 높았다. 단 2000년대 들어 가장 반대·기권 비율이 높았던 조환익 전 사장(19대)의 23.7%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최근 한전은 주총에서 김 사장의 선임안이 통과됐다는 결과를 발표했지만 구체적인 찬반 비율은 공개하지 않았다.
김 사장은 한전 62년 만에 탄생한 첫 정치인 출신 최고경영자(CEO)라는 점 때문에 한전 안팎에서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김 사장이 에너지 분야에서 뚜렷한 경력이 없어 국내 최대 에너지 공기업 한전을 이끌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내놓기도 했다.
더욱이 의결권 자문사이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 기관인 서스틴베스트는 김 전 의원의 사장 선임 안건에 대해 반대 의견을 내기도 했다.
이번 선임에 대해 정 의원은 “불확실성이 커진 국제 정세와 친환경 에너지로의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한전이 제 역할을 하려면 전문가적 안목이 필요하다”라며 “김 사장이 과연 에너지 정책과 200조원 규모의 부채 늪에 빠진 한전의 위기를 슬기롭게 헤쳐 나갈 수 있을지 국회에서 꼼꼼히 따져갈 것”이라 말했다.
한편 김 사장은 지난 20일 열린 취임식에서 “제2의 창사라는 각오로 결연하게 나아가야 한다”면 정면 돌파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실제 그는 취임 직후 “위기를 극복하는 실마리가 보일 때까지 당분간 추석 연휴를 포함한 휴일을 모두 반납하고 24시간 본사를 떠나지 않고 핵심 현안을 챙기겠다”고 언급한 이후 회사에서 ‘숙박 경영’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